본문 바로가기

사라진 시리즈

사라진 과자 : 단종된 문방구 간식

사라진 과자, 단순한 간식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년 시절을 떠올릴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장소 중 하나가 바로 학교 앞 문방구일 것입니다.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을 보낸 세대에게 문방구는 단순한 문구 판매점이 아니라, 친구들과 웃고 떠들며 추억을 쌓는 소중한 공간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문방구 앞을 지배했던 단종 간식들은 당시 아이들에게 하나의 문화였고, 하루의 피로를 달래주던 특별한 보상이기도 했습니다.

 

지금은 보건과 위생, 식품법 등의 이유로 대부분 단종되었지만, 그 시절 과자들은 단순히 맛이나 포장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친구들과 나눠 먹고, 모으고, 교환하며 형성된 놀이 문화 속에서 이 간식들은 아이들의 사회성과 감성을 키워주는 중요한 매개체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 문방구 간식들을 되돌아보며, 왜 그토록 사랑받았는지, 어떤 특징이 있었는지, 그리고 지금도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제는 단종된 문방구 과자

사라진 과자, 한 때 문방구를 점령한 간식

문방구 앞을 장악했던 단종 간식 중 가장 대표적인 제품은 바로 ‘쫀드기’였습니다. 이 과자는 얇고 납작한 형태로, 아이들이 직접 라이터로 구워 먹으며 즐거움을 더했습니다. 단순히 먹는 것이 아니라 ‘굽는 과정’ 자체가 놀이였기 때문에 친구들과 함께 불을 나눠 쓰며 더 친밀해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불을 사용하는 위험성과 식품 위생 문제로 인해 지금은 대부분 단종되었습니다.
 
다음으로는 ‘눈깔사탕’이 빠질 수 없습니다. 이 사탕은 실제 눈알 모양을 하고 있어, 호기심 많던 어린이들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했습니다. 먹으면서 장난을 치고, 눈알처럼 굴리는 재미가 더해져 큰 인기를 끌었지만, 외형의 자극성과 위생 문제로 인해 사라졌습니다.
 
또한 ‘용가리알’이라는 과자는 톡톡 터지는 식감과 알록달록한 색감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작은 구슬 모양의 캔디들이 입 안에서 터지며 퍼지는 단맛은 당시 아이들에게는 매우 색다른 경험이었습니다. 이 제품 역시 색소 사용과 당분 함량 문제로 인해 사라졌습니다.
 
이외에도 ‘꼬마 캔디’, ‘비눗방울 껌’, ‘코팅 젤리’ 등 수많은 단종 과자들이 문방구 문 앞의 작은 통에 담겨 판매되었습니다. 아이들은 그 속을 들여다보며 어떤 과자를 고를지 고민했고, 때로는 용돈을 아껴서 두 개를 살지, 하나를 사고 음료를 함께 살지 신중하게 계산하며 자신만의 소비 전략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사라진 과자, 인기의 비결

그 시절 문방구 과자들은 단순히 싸고 달달한 간식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아이들에게는 가격, 놀이성, 수집욕, 소속감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특별한 매력을 주었습니다. 첫째, 대부분의 과자들이 100원~300원대였기 때문에 용돈이 많지 않던 아이들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었습니다. 단 몇 백 원으로도 친구들과 웃을 수 있었던 경험은 그 어떤 고급 디저트보다 값진 기억이 되었습니다.
 
둘째, 먹는 방식 자체에 놀이 요소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쫀드기를 불에 구워 먹거나, 껌 안에 들어 있는 종이 인형을 모으거나, 종이 뽑기 과자처럼 무엇이 나올지 모르는 형태는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이처럼 과자는 ‘먹는 것’ 이상의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셋째, 소장과 교환이 가능했던 수집형 과자들도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예를 들어 ‘껌 스티커 시리즈’나 ‘카드 사탕’은 특정 캐릭터나 시리즈를 전부 모으기 위해 같은 제품을 반복 구매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로 인해 아이들 사이에서는 과자 하나가 게임의 아이템처럼 취급되었고, “너 이거 모았어?”라는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졌습니다.
 
넷째, 문방구라는 장소의 집단적 경험 속에서 과자는 또래 문화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점심시간이 끝난 후, 학교 끝나고 삼삼오오 모여 과자를 고르며 형성된 소소한 커뮤니케이션은 지금의 디지털 문화와는 또 다른 인간적인 감성이었습니다. 그 간식들이 사라졌어도 그 감정은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살아 있습니다.
 

사라진 과자, 문화적 의미

단종 간식들은 단순히 시장에서 사라진 제품이 아닙니다. 그 과자들은 한 세대의 추억과 감성을 공유하는 집단 기억의 일부였습니다. 지금은 보기 힘든 과자들이지만, 여전히 SNS나 커뮤니티에서는 “이 과자 기억나요?”, “이거 다시 먹고 싶다”는 글이 올라오며 수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는 단순한 상품 회상이 아닌, 그 시절의 감정과 시간을 함께 떠올리는 문화적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이러한 향수를 자극해 복고 마케팅의 일환으로 단종 제품을 재출시하거나 유사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쫀드기’는 간헐적으로 복각되기도 했으며, ‘용가리알’을 닮은 유사 제품도 다시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입을 모아 “그때 그 맛은 안 난다”고 말합니다. 그 이유는 단순한 레시피 때문이 아니라, 그 제품을 먹던 시절의 분위기, 주변 사람, 공간의 공기가 함께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단종 간식은 결국 어린 시절의 감정을 압축한 상징물입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그 과자를 떠올릴 때 함께 떠오르는 친구의 얼굴, 학교 앞 문방구 간판, 낡은 유리 진열대, 종이돈을 들고 고민하던 우리의 모습은 쉽게 잊히지 않습니다. 그 시절을 살아낸 세대에게 문방구 단종 과자는 단순한 간식이 아닌, 마음 한편을 따뜻하게 해주는 ‘시간 여행 티켓’입니다.